장영수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장)

 
 신정부의 수산국정과제의 시각은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해양수산업의 중요성 인식, 해양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체계적 해양관리, 수산의 미래 산업화이다.
   미국은 수산업을 포함한 해양종합전략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대응 수산과학기술 발전, 국제협력 및 해양행정조직을 강화하고 있다. EU는 수산분야를 포함한 통합해양행정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해양자원의 이용극대화, 세계 해양주도권 확보, 지식·혁신기반 해양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생태계 보전과 해양산업의 통합적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한 통합해양정책 및 해양과학, 국제협력 증진을 꾀하고 있다.
     수산업의 정의 및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수산업’에서 ‘수산산업’으로 범위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며,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어업과 그 전후방에 위치하여 생산물의 이용과 생산촉진에 관련되는 산업들을 하나의 산업체계로 파악하여야 한다.
   미래 수산업의 발전 방향으로 어업구조체질개선, 갯벌어업의 신산업화,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 글로벌 수산전략 확대, 신 수산산업의 영역 확대가 필요하다.
   어업구조체질개선을 위해서는 노후어선 대체, 유류절감 등 기후 대응 에너지 절감형 어업구조 개편, 제도 개선을 통한 수산자원의 지속적 관리 및 어업경영의 경쟁력 강화가 요구된다. 갯벌어업의 신산업화를 위해서는 갯벌자원의 지속적 관리이용체계, 갯벌어업의 규모화 및 기업화 추진, 갯벌 수산물의 부가가치 증대, 갯벌어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생산-가공-유통-수출 통합 추진, 전통 수산시설의 현대화 및 수산식품 관련업체의 집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 수산 R&D 사업과 연계한 수산식품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등이 필요하다. 신 수산산업의 영역 확대는 수산생명산업 육성을 통한 수산영역 확대, 관상생물, 의약소재, 수산생명자원 확보 및 이용을 통한 수산업 규모 확대, 수산 신기술 R&D 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소재 개발 및 산업화를 통해 가능하다.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전략 Agenda로 수산자원의 체계적·과학적 관리, 친환경 양식업 개발을 통한 양식수산물의 안정적 공급, 제도 개선을 통한 어촌경제의 활성화 및 어업경영의 경쟁력 강화, 글로벌화를 통한 수산업의 범위 확대, 기후변화 대응 어업구조개선, 수산물 유통 가공 산업의 고도화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산관련 기관, 어업인 단체, 학교, 연구소, 노동조합, 전후방 연관 산업 단체 등 수산산업을 포괄적으로 융?복합할 수 있는 구심점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수산산업의 통합 창구 역할 기능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