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봉 기 한국지역진흥재단 이사장 (전 강원도 행정부지사)

 
  박근혜 정부가 출범된 이후, 오랜 논란 끝에 3.22일 국회에서 정부조직법이 통과되어 마침내 해양수산부가 부활하였다. 긴 해안선과 광활한 해역을 보유하고 있는 강원도와 6개 시군은 해양수산부 부활에 거는 기대가 여느 지역 보다 높다고 하겠다. 

 그 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민들을 위해 많은 해양수산정책을 추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어족자원의 고갈과 어획량 감소 등으로 어민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점에 기존의 강원도 해양수산정책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고 미래강원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전략 수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강원도 동해안을 신성장 동력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전을 도출하고, 이를 실현하기위한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을 조기에 재정립하여 계획적이고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해 보면

첫째, 수산자원의 조성 확대와 어선기자재의 확충 지원이다.
 수산자원의 고갈 문제에 대해 오랜 기간에 걸쳐 바다목장화 사업의 일환으로 인공어초, 해중림, 종묘 생산과 방류 등 수산자원조성사업에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여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 왔다. 앞으로도 이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하겠다. 또한 노후기관 대체, 유압양망기 등의 어획작업에 필요한 장비확충은 물론 유류 절약형 어선부력판 설치 지원 확대 등으로 어업경영개선을 기해 나가야 하겠다.
 
둘째,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산업의 적극적인 육성이다.
 최근의 레저활동의 흐름은 기존의 육상중심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해양레저활동에 대한 욕구가 크게 표출되고 있다.
현재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산업이 발전하는데 있어 장애요인은 자원개발의 미흡, 타 산업에 비해 행정의 지원체제의 미비, 업체의 영세성과 마케팅 전문인력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강원도는 빼어난 자연경관을 가진 해양과 어촌을 휴양·레저공간으로 재조명하여 해양문화의 저변을 확대하고 해양관광을 통해 지역민들의 소득과 연결되는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양레포츠 관련 전담부서를 확대 설치하여 체계적으로 추진 시켜 나가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셋째, 해양생태환경 관리에 대한 투자 확대이다.
 연안지역의 산업활동의 증가로 생활하수와 산업폐수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류되어 바다의 청정가치가 훼손되고 어장환경이 악화되어 왔다. 아울러 1990년대까지 연안관리의 중요성 인식부족으로  해안도로 개발, 소규모 어항의 건립, 각종 구조물 구축 등 개발이 해양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여 오늘날 연안침식의 문제가 상당한 우려를 낳고 있다. 우리 강원도 미래의 자원가치로 인정될 청정한 생태환경을 위해서는 철저한 원인분석과 조사를 통해 개발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만들어 나가고 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어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문화정책 강화이다.
 바다의 열악한 조업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어업인들은 농축산업 등 다른 직업군에 비해 문화·복지 혜택이 뒤떨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어업인구의 감소로 노령화가 가속화 되고, 여성어업인의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어촌에 부족한 문화, 학습관련 시설확충 및 프로그램 운영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증진 인프라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아울러 어업인에 대한 전문 교육능력을 위한 교육지원과 어촌 지역개발 리더 육성 등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이제 해양수산부의 부활을 계기로 우리만이 가질 수 있는 해양수산정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너무나도 소중한 동해안 바다와 함께 살아가는 어민들을 위해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여 다시 한번 도약할 계기로 삼아 나가야겠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