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인물/산란기 자연산 민물장어 금지 주장한 신항근 민물장어유통협회장
서해안 연안에선 통발망으로...제주도에선 선망으로 대량 어획
산란기 민물장어 일명 '바람장어' 남획이 회귀 치어수 격감시켜

 
미국이 국산 양식 민물장어의 주종인 앙길라자포니카 종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등재의 움직임을 보이는 있는 가운데 국내 민물장어유통협의회가 산란기 자연산 민물장어와 방류된 치어의 채포를 법률로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민물장어유통협의회 신항근 회장은 "일본의 경우 민물장어의 자연 보호를 위해 산란기에 든 것을 포함해 자연산 민물장어는 전혀 먹지 않고 양식산만 가공해 '가바야키'로 먹는다"면서 "우리나라는 현재 산란기에 들어 필리핀으로 향하는 민물장어를 서해안과 제주도 일대의 길목에서 대량으로 남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서해안으로 흐르는 모든 하천의 기수 지역에서 9~11월 필리핀으로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일명 '바람장어'를 대량으로 남획하는 것이 치어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신 회장은 "서해안의 경우 2개 업체에서 알을 밴 민물장어를 거대한 통발망으로 일주일에 평균 100kg씩 어획해 자연산만 고집하는 특수 소비층 고객에게 유통시키고 있다"면서 "민물장어 1마리가 낳은 알의 수가 10만 마리 정도임을 감안하면 치어수를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이다"라고 폭로했다.

 또 그는 "제주도에서는 8~9월에 수개 업체들이 자연산 민물장어의 포획을 주업으로 하면서 필리핀으로 가는 제주도 해역의 길목에서 민물장어를 선망으로 대량으로 포획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산란기 민물장어가 남획되는 현실을 설명했다.

 신 회장은 또 다른 개체수 감소 원인에 "국가적 사업으로 댐이나 하천에 치어를 방류하면 하천 어민들이 안강망으로 다시 채포해 방류 사업의 효과가 줄어 민물장어의 개체 수가 줄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물장어도 연어 등 회귀성 어종과 마찬가지로 어미가 살던 특정 지역으로 되돌아오는 어종이다.

 민물장어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일본과 대만, 중국과는 달리 민물장어는 전량 활어로 소비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국제 간 거래가 금지될 경우, 민물장어의 가격이 폭등할 것이 확실시돼, 일본보다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식탁에서 민물장어의 요리를 더 찾아보기가 어려워질 것"이라 내다봤다.

 민물장어 가공식품인 '가바야키'의 경우 냉동 저장이 가능해 물류 조절로 가격 조절이 가능하지만 활어로 소비되는 경우에는 수입 금지로 인한 물류 부족은 곧 가격 폭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현재 일본은 CITES에 등재돼 국제간 거래가 금지되더라도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치어 채포량이 넉넉해 자국 소비량을 충당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가바야키로 소비되고 있어 대만, 동남아시아, 중국으로부터 값싼 가바야키를 수입하면 되는 상황이다.

 또 대만의 경우 민물장어 자국 소비량이 1~2%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가바야키로 가공해 일본에 수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민물장어를 전량 수출하고 있어 CITES에 등재되더라도 중국, 대만은 자국 식생활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한편 신 회장은 "CITES에 등재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국민은 일본이 아니라 바로 우리나라일 것"이라면서 "국민이나 자연보호를 위해서라도 자연산 민물장어 성어(산란기 포함)는 정부가 법률로 규정해 고래처럼 포획을 금지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성엽 기자>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