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5.1% 증가… 연 평균 3.7% 성장
가정간편식 증가, 유가공품 감소 등 국민 식생활 변화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78조9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75조580억원에 비해 5.1% 증가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가 발표한 2018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6.3%, 국내 총생산(GDP) 대비 4.4%를 차지했다.

식품산업은 식품등(가공식품, 식품첨가물 포함), 축산물(식육포장육, 식육, 유가공품, 알가공품), 건강기능식품, 용기·포장류의 제조 가공산업을 포괄한다.

최근 3년간 식품산업 연평균 성장률은 3.7% 증가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은 2016년 73조 3,139억원, 2017년 75조580억원, 2018년 78조9070억원 등 8.4%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식품산업 생산실적 주요 특징은 식품의 경우 즉석섭취편의식품이 가장 크게 성장하고 식육제품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으며 음료는 유가공품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소주와 수입맥주 증가, 탄산음료는 온도 변화에 민감했다. 건강기능식품은 홍삼제품의 강세가 지속됐으며 프로바이오틱스가 급성장했다. 업종은 업종별 성장률이 상위 품목 생산실적과 연동됐으며 업체는 생산실적 1조원 이상 5개사, 상위 순위 변동 등이다.

▶식품=2018년 식품별 생산실적은 돼지고기 포장육(6조2천억원)이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쇠고기 포장육(5조원)이 뒤따랐다. 3위 양념육(3조3천억원), 4위 즉석섭취·편의식품류(3조원), 전년도 6위였던 소스류(2조6천억원)가 5위로, 5위였던 우유류(2조4천억원)가 6위 순으로 조사됐다.
생산실적 상위 품목의 주요특징으로는 식육제품이 1~3위를 차지했으며, 즉석섭취·편의식품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은 지난해 3조40억원으로 전년(2조6,431억원) 대비 13.7%가 증가했다. 최근 3년의 성장률 역시 14.3%(‘16), 22.6%(’17), 13.7%(‘18)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즉석섭취·편의식품의 높은 성장세는 1인가구의 증가 및 가정간편식(HMR) 소비 증가 등 국민 식생활이 변화하면서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변화추이를 보면 즉석섭취식품류는 50위→5위로, 즉석조리식품류는 40위→7위로 상승했다.
또한, 양념육류은 2018년 3조3,285억원으로 전년(3조163억원) 대비 10.3% 큰 성장률을 나타냈다. 햄류는 1조242억원으로 전년(1조1,375억원) 대비 10% 하락해 20위내를 벗어났다.
포장육 및 양념육 등의 증가는 식품소비에도 조리의 편리성, 간편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음료=우유류 생산실적은 2018년 2조4,232억원으로 전년(2조5,893억원) 대비 6.4%, 발효유류와 가공유류도 20%이상 감소했다.
특히, 유가공품인 영·유아식 분유가 3,692억원으로 전년(3,965억원) 대비 6.9% 감소, 저출산 사회현상이 우유, 유가공품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 생산실적은 지난해 3조4,001억원으로 전년 (3조3,314억원) 대비 2.1% 증가했다. 소주의 생산실적은 1조5,139억원으로 전년(1조3,316억원) 대비 13.7% 증가를 보인 반면, 맥주 생산실적은 8,203억원으로 전년(9,512억원) 대비 13.8% 감소했다.
수입맥주는 지난해 4,300억원으로 전년(2,966억원) 대비 45% 대폭 증가했다. 이는 맥주소비시 다양한 선택을 원하는 소비자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액상커피(캔커피 등) 생산실적은 전년대비 29.6%, 볶은커피(원두커피) 생산실적은 전년대비 5.2% 증가했다.
인스턴트 커피?조제커피(믹스커피)는 소폭 하락했다. 이는 액상커피의 다양화와 소매점 및 커피 전문점의 커피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탄산음료류 생산실적은 지난해 1조2,326억원으로 전년(1조138억원) 대비 21.5% 증가했다. 이는 2017년 탄산음료류 생산실적이 1조138억원으로 2016년(1조2,893억원) 대비 21.3% 감소한 것과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절기 기온의 영향을 받는 음료시장의 특징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3년간 폭염일수(일 최고기온 33℃이상인 날의 일수)는 2016년 22.4일, 2017년 14.4일, 2018년 31.5일로 폭염일수의 증가가 음료 생산실적에 연동됨을 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지난해 1조 7,288억원으로 전년(1조4,819억원) 대비 16.7% 증가했다. 부동의 1위를 차지한 홍삼제품 점유율이 39.1%(6,765억원)로 전년(5,261억원) 대비 28.6%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홍삼제품 다음으로 개별인정형(14.2%), 비타민 및 무기질(12.4%), 프로바이오틱스(11.0%), EPA 및 DHA 함유 유지(3.1%) 순으로 많이 생산됐다. 이 중 프로바이오틱스가 지난해 1,898억원으로 전년(1,495억원) 대비 27% 증가해 소비자 선호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2018년 건강기능식품시장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홍삼의 소비증가는 독립가구 및 시니어가구에서 증가하고, 프로바이오틱스는 독립가구 및 10대자녀가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건강기능식품 수입은 6,727억원으로 전년 대비 17.1% 상승했다. 주요 품목은 비타민 및 무기질이 2,324억원(34%), EPA·DHA 1,029억원(15.3%), 프로바이오틱스 751억원 (11.2%) 등이다.
주요 수입국가는 미국이 4,038억원(60%)로 1위를, 캐나다 643억원(9.6%), 인도 268억원(4.0%)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2018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 및 식품첨가물 제조업(45조2,970억원)이 1위를, 축산물 관련업(25조926억원), 용기·포장류업(6조7,886억원),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7,288억원)등이 그 뒤를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실적은 2018년 1조7,288억원으로 전년(1조4,819억원) 대비 16.7% 증가했다. 용기·포장류 제조업 생산실적은 2018년 6조7,886억원으로 전년(6조756억원) 대비 11.7% 증가했다. 이는 즉석섭취식품, 포장육 및 배달음식 등에 사용되는 용기·포장류도 증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위 생산품목인 식육제품과 관련한 식육포장처리업 생산실적은 지난해 13조7,538억원으로 전년(12조8,938억원) 대비 6.7% 증가했다. 반면 저출산 영향에 따라 우유 및 유가공제품 생산실적 감소와 관련한 유가공업 생산실적은 5조5,220억원으로 전년(6조710억원) 대비 9.0% 감소했다.
첨가물제조업 생산실적은 2018년 2조874억원으로 전년(1조6,632억원) 대비 25.5% 증가했다. 주요 식품첨가물은 수산화나트륨액(7,695억원)으로 전년대비 37.6%(2,101억원) 늘어났다.
수산화나트륨액은 수처리제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며, 중국 등 주요 수입국 상황에 따라 국내생산이 수입을 대체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업체=제조업체별 생산실적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4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5곳이다.
‘씨제이제일제당㈜’이 지난해 1조8,534억원으로 전년(1조6,916억원) 대비 10.1%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롯데칠성음료㈜’ (1조8,491원), ’㈜농심’(1조8,069억원), ‘하이트진로(주)’(1조2,720억원), 5위 ‘서울우유협동조합’ (1조531억원)순으로 조사됐다.
작년 2위였던 ‘씨제이제일제당㈜’은 만두류와 즉석섭취·편의식품 등의 생산실적 상승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탄산음료·소주 등의 생산실적 증가로 전년도 3위였던 ’롯데칠성음료㈜’가 2위로 상승했다.
식약처는 “이번 생산실적 자료가 식품산업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며 “식품기술 및 제품개발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 →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또는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