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완현)은 굴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어미 굴 산란장을 조성해 기존 대비 17.2%(약 60억 개체)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굴수하식수협과 함께 어업인의 현장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건강한 어미 굴 선별 ▲적정한 산란장 조성 ▲채묘시기, 규모, 방법 등 공동연구를 추진한 결과다.

우리나라 굴 양식 생산량은 총 약 30만 톤(‘18)으로 이중 84%를 차지하고 있는 통영을 포함한 경남지역 굴 양식장에서 매년 필요한 굴 채묘량은 23,000천연(약 350억 개체)이다.

하지만 해마다 인공종자와 자연채묘량 변동이 심하고, 굴 종자 수급이 안정적이지 못해 어업현장에서는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처럼 굴 종자를 확보하는 데 어려운 이유는 ▲굴 자연 채묘장 감소 ▲기후변화 등 이상해황으로 인한 채묘량 부진 ▲장기간 연작으로 인한 어미 굴의 열성화 등에서 기인된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수산과학원과 굴수하식수협은 건강한 어미 굴 산란장으로 남해(갈화), 통영(필도), 부산(가덕도) 3곳을 선정하고, 지난 6월 어미 굴 약 6만 마리를 분산 이식시켜 산란장을 조성했다.
산란장 조성 후 굴 유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단기간에 많은 양의 산란이 이뤄진 것을 확인했으며, 최근 3년 평균 대비 부착기 유생의 자연채묘량 역시 지역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과원에 따르면 남해는 443만연에서 522만연, 통영 928만연에서 1,080만연, 가덕도 897만연에서 1,044만연으로 증가한 것으로 전했다.

최완현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이번 어미 굴 산란장 조성을 통해 종자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어업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어업인과 소통하며 함께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