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산계 역시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다. 그러나 여느 해와 달리 해양수산부 장관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할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의 IUU예비어업국 지정으로 한국의 대외 이미지가 실추되는 상황이 벌어졌으며 잇단 어선사고로 해양안전에 대한 불감증이 그대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런 저런 사고로 점철된 기해년 10대 뉴스를 간추려 본다.<편집자 주>

①-수협조합장 절반 새얼굴로
지난 3월13일 치러진 ‘제2회 전국조합장 동시선거’에서 수협은 선거가 실시된 90개(냉동냉장수협 제외) 조합 중 46곳에서 현직조합장이 당선됐다. 이는 전체의 51%로 2015년 1회 때보다도 2%가 더 줄어든 것이다. 2015년에는 83곳에서 선거가 치러져 44명만 현직이 살아남았다.이번 선거에서는 초선 조합장 29명이 재선고지를 밟았고 재선조합장은 14명만이 3선고지에 입성했다. 연령별로는 60대가 53명으로 전체의 58.2%를 차지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90개 조합에서 227명이 등록해 평균 2.5:1의 경쟁률을 보였다.

②-45년 만에 연평도등대 재점등
45년 만에 연평도등대가 재점등됐다. 해양수산부는 연평도해역을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지난 5월17일 오후 7시 20분 연평도등대 재점등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연평도등대는 1960년 3월 연평도해역 조기잡이 어선들의 바닷길을 안내해주고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 첫 불을 밝혔다. 1970년대 이후에는 남북 간 군사적 대치가 심화돼 안보문제로 1974년에 소등되고, 1987년에는 시설물이 폐쇄됐다.남북 간 긴장이 완화돼‘평화의 바다’로 다시 자리매김하길 기대하고 있다.

③-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취임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4월3일 취임식을 갖고 "노르웨이와 같이 수산업이 우리나라 주력산업으로 자리매감힐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밝혔다.문 장관은 "수산업을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미래 지향적인 혁신산업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수산혁신 2030 계획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전국 확산,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산물 생산에서 유통까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자"고 했다.

④-일본의 상업포경 재개
일본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인 1일부터 상업적 목적의 고래잡이를 재개했다. 해양수산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일본의 상업포경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면서 “우리 수역의 고래 자원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해수부는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 수역을 왕래하며 서식하는 J계군 밍크고래가 일본의 포경대상에 포함돼 우리나라로의 회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⑤-사상 유례없는'명태' 연중포획 금지
해양수산부는 연초인 지난 1월15일,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을 개정, 명태 연중 포획을 금지 했다. 일부 어종에 대해 연중 포획을 금지하는 것은 연근해 자원관리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이에 대해 정부가 합리적 근거 또는 설명 없이 모라토리움(어획금지)를 한게 아니냐는 지적이 어업인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다시 제기됐다. 어쨌든 명태 연중포획금지는 자칫 코미디로 끝날 소지가 있어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⑥-수협회장 신구 교체
임준택 前 대형선망수협 조합장이 25대 수협중앙회장에 선출됐다.2월 22일 수협중앙회 2층 독도홀에서 열린 수협중앙회장선거는 당초 예상대로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은 후보가 나오지 않아 결선투표를 벌인 결과 임준택 조합장이 54표를 얻어 임추성 전후포수협 조합장을 17표차로 따돌리고 회장에 당선됐다. 한편 김임권수협중앙회장은 3월 26일 퇴임식을 갖고 수협을 떠났다. 김임권 회장은 4년 전 ‘강한 수협, 돈 되는 수산’이란 낯선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철옹성 같던 수협의 조직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협동조합이란 틀에 갇혀 있던 임직원들의 사고의 틀을 깨기 위해 외로운 도전을 시도하기도 했다.

⑦-우리나라 예비 IUU 어업국 지정
미국 상무부 산하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9월20일 한국을 예비 IUU 어업국으로 지정했다. 미국이 한국을 예비 IUU 어업국으로 지정한 건 2017년 12월 원양어선 ‘서던오션호’와 ‘홍진701호’는 남극 수역에서 어장폐쇄 통보를 따르지 않고 조업을 한데다 서던오션호는 한국의 처벌규정 등이 미약해 어선이 불법 조업을 하더라도 제대로 처벌이 이뤄지지 않은 점 때문이다. 원양산업발전법이 국회를 통과해 예비 IUU 어업국 지정도 조만간 해제될 것이라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예비 불법 어업국’ 지정으로 인한 대외 이미지 하락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⑧-바다마트 덕이점 소문도 없이 폐쇄
수협바다마트 일산 덕이점이 3년여만에 30억원 가까운 손해를 보고 폐쇄됐다. 이상한 점포계약 →열자마자 적자→임차 1년 만에 폐점 및 전대→ 다시 수협 직영 개점 및 폐쇄 등 일반인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진 덕이점이 개점 3년 만에 마침내 사라진 것이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수협은 지난 7월4일 임대인과 합의해 바다마트 일산 덕이점 계약을 해지했다.수협 안팎에선“상식적으론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수협이 경제사업에서 30억원을 벌려면 몇십년은 걸릴 것”이라고 혀를 찼다. 제대로 책임을 묻지 못한 선례를 남겼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

⑨-구노량진수산시장 철거
서울 동작구청은 수협중앙회가 제출한 철거계획서를 지난 10월 15일 승인했다. 이로써 3년여를 끌어온 구노량진수산시장 일부 잔존 상인과 수협과의 갈등은 분기점을 맞게 됐다. 수협은 이에 따라 수협은 내년 3월까지 새 시장의 준공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새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옛 노량진시장 강제명도 과정에서 수협 측과 충돌했던 일부 상인은 여전히 시장개발에 반발하고 있다.

⑩-대성호 등 잇달은 어선 사고
11월 들어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어선 침몰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11월19일 제주시 차귀도 서쪽 약 76㎞ 해상에서 통영선적 갈치잡이 어선 대성호(29톤·승선원 12명)에서 불이나 침몰된 데 이어 같은 달 25일 서귀포시 마라도 남서쪽 약 87㎞ 해상에서 통영선적 장어잡이 어선 창진호(24톤·승선원 14명)가 전복됐다. 또 같은 날 전북 군산 앞바다에선 김 양식장 작업을 하던 관리선이 전복돼 선원 1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 연이어 발생한 사고로 총 5명이 숨지고 14명이 실종된 것은 해양 안전사고에 대한 불감증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수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